반응형
2025년 한국 취업비자 개정안 정리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들에게 중요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2025년부터 적용되는 취업비자 제도 개정안은 임금 기준 완화, 신청 조건 완화, 절차 간소화 등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개정된 내용을 핵심만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1. E-7 비자란?
E-7 비자는 특정 전문 분야의 외국인이 한국 기업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취업비자입니다. 직무에 따라 아래 네 가지로 구분됩니다.
- E-7-1: 전문 인력 (IT, 마케팅, 회계 등)
- E-7-2: 준전문 인력 (간병, 요양, 관광서비스 등)
- E-7-3: 일반 기능 인력 (조선, 용접 등 뿌리산업 중심)
- E-7-4: 숙련기능 전환 인력 (H-2 또는 E-9 → E-7 전환)
2. 개정된 최소 연봉 기준 (2025년 4월 1일 시행)
기존에는 GNI 기준으로 매년 달라졌지만, 2025년부터는 다음과 같이 명확한 금액 기준으로 고정 적용됩니다.
비자 유형 | 2025년 연봉 요건 |
---|---|
E-7-1 (전문인력) | 28,670,000원 |
E-7-2 (준전문인력) | 25,150,000원 |
E-7-3 (일반기능인력) | 25,150,000원 |
E-7-4 (숙련기능인력) | 26,000,000원 |
3. E-7-4 전환 비자 제도 개편
- 신청 요건 완화: 비자 전환 후 2년 이내에 TOPIK 2급 취득 또는 KIIP 2단계 이수
- 상시 신청제 도입: 분기별 → 연중 상시 접수로 변경
- 쿼터 확대: 연간 3,000명으로 증가
- 지자체 추천 가산점: 광역자치단체 추천 시 최대 30점 추가
- 지방 체류자 우대: 비수도권 근로자 체류 요건 5년 → 3년
4. 기타 주목할 변경사항
- 축산업 기능인력 허용: E-7-3 비자 대상 직종에 축산물 가공 분야 추가 예정
- 지역특화형 비자 확대: 더 많은 지자체가 외국인 정착형 비자 운영 가능
5. 요약
2025년 개정안은 외국인에게는 비자 취득의 문턱을 낮추고, 한국 기업에게는 우수 인력 채용 기회를 넓혀주는 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에겐 인재 확보에 있어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께 유용합니다
- 한국에서 장기적으로 취업을 꿈꾸는 외국인
- 외국인을 고용하고자 하는 중소기업
- 비자 전환을 고민 중인 H-2, E-9 근로자
비자 제도는 매년 조금씩 바뀌고 있습니다. 최신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변경된 조건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한국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한국에 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을 준비하는 한국인의 아이스커피 사랑 (3) | 2025.05.31 |
---|---|
한국어 초보 외국인을 위한 꿀팁 7가지 – 혼자 공부하지 마세요! (3) | 2025.05.26 |
한국에 처음 온 외국인이 깜짝 놀라는 11가지 (2) | 2025.05.06 |
외국인이 처음 등록하는 외국인등록증 A to Z (3) | 2025.05.05 |
외국인이 자주 틀리는 TOPIK 어휘 베스트 10 (0) | 2025.05.04 |